![[TypeScript] TypeScript 공부일지: 열거형 타입(enumerable type)(enum) [5/29 study]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deC1Fe%2FbtsHZUDgyk3%2FAAAAAAAAAAAAAAAAAAAAAO45uSIaWEfI-nZcbWayS8f7W5O8j-EIexG1iTJHnM1k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92443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KoTLvtCBBzf52G1JYFpEyAgTw5E%253D)
[TypeScript] TypeScript 공부일지: 열거형 타입(enumerable type)(enum) [5/29 study]Frontend/TypeScript2024. 5. 29. 14:06
Table of Contents
TypeScript 공부일지: 열거형 타입(enumerable type)(enum)
❗️주의
지극히 개인 공부한 내용을 올린 거기 때문에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음
❗️ 열거형 타입 (enumerable type)(enum)
// enum 타입
// 여러가지 값들에 각각 이름을 부여해 열거해두고 사용하는 타입
// enum은 특별하게 컴파일 결과 사라지지 않음
// 0이 관리자인지 일반유저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음 이럴때 enum type 사용
enum Role {
ADMIN = 0,
USER = 1,
GUEST = 2,
}
// 0,1,2 지정안해도 위에서부터 자동으로 0,1,2 순으로 지정됨
// 만약에 ADMIN을 10으로 할당하면 자동으로 아래로 +1 씩 증가되면서 숫자 지정됨
const uset1 = {
name: "이정환",
role: Role.ADMIN, // 0 <- 관리자
};
const uset2 = {
name: "홍길동",
role: Role.USER, // 1 <- 일반유저
};
const uset3 = {
name: "은동혁",
role: Role.GUEST, // 2 <- 게스트
};
+ 추가로 자동으로 숫자 할당을 없애고 싶다면 문자열을 넣어주면 된다!!
❗️ 마무리
열거형 타입을 배우면서 느낀점은 점 표기법과 비슷하다는 점이고 점 표기법은 자바스크립트, 리액트를 사용할때도 많이 이용했던 문법이기 때문에 자주 사용할 것 같다!
오늘도 화이팅!!
@동혁이 :: Eun_Frontend
프론트엔드 공부일지 입니다.
포스팅이 좋았다면 "좋아요❤️" 또는 "구독👍🏻" 해주세요!